〈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서로 대립관계였던 최민식과 성낙경이 또 다시 대립관계로 재회한다.
Cha Moosik operates a casino bar, only to flee towards the Philippines resulting from a crackdown via the Countrywide Tax Services. He launches a complete-fledged casino organization, and strategizes profitable over the political and company circles inside the Philippines.
에 출연하였던 이동휘와 진선규가 재회한다. 단 진선규는 회상 씬에서만 등장하므로 직접적인 만남이나 관계는 없다.
결국 마지막회에 막무가내 몰살 엔딩으로 결말을 내면서 비슷한 시기에 용두사미로 몰락한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가 추락하였다. 좆지노, 카죽노라는 멸칭까지 생길 정도. 차무식의 몰락에 포커스를 맞추기 위해 모든 등장인물들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줬다.
극중 차무식이 현직 형사 절친인 박종현에게 고회장의 돈을 가지고 도망간 소정을 추적하기 위해 전과기록 조회를 요청하는데 현실에서는 현직 형사가 수사중인 사건의 피해자 외에 관련없는 타인의 전과기록을 함부로 조회하면 로그에 다 남고 그 자체가 최소 정직 이상의 중징계감이다.
또한 설정도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거나 작위적인 설정 또한 있다. 더구나 분명히 극은 피카레스크이며 주인공도 선인이 아닌 선·악을 이익에 의해 오가는 인물임에도 무조건적으로 영웅적이고 특출나게만 보여주거나 심지어 폭력이나 불법, 범죄를 미화하고 자기합리화하는 연출이 많기 때문에 극 중 주인공에게 이입되기보다 오히려 거리감이 생기는 부작용이 있다.
여담으로 차무식이 죽는다는 결말은 정해져 플러스카지노 먹튀 있었으나, 누구에게 죽을 것인지는 끝까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 와중 최민식이 "이런 인물의 최후는 불쾌할 정도로 비참한 결말이여야 한다.
또한 이 작품이 호평받은 이유 중 하나가 피카레스크적이며 다채롭고, 실제로 있을 법하여 매력을 주는 캐릭터들이었는데, 이들을 다수 만들어놓고 차무식의 강함을 증명시키는 역할의 단발성으로 소모시키거나 그냥 분량 증발 혹은 사망 엔딩을 시켜버렸다.
〈범죄도시〉에서 허성태는 독사파 보스로 나오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앙심을 품은 삼합회의 '청소부들'이 풀어놓은 독사에 물려 죽는다.
서태석 사건 이후로 등장하지 않는 삼합회 인물들, 한인회장, 우성일 등등. 특히 양상수는 정팔이 차무식을 손절하고 타려 한 라인의 우두머리이자 엔딩까지도 투입할 수 있을 만한 역할이였는데도 차무식의 카리스마를 부각시키는 장치 정도로 소모되었다.
자신을 사살하라던 영사 한 명도 어떻게 하지 못하고, 가끔 보이는 외국용병들은 병풍처럼 할 일 없이 서 있을 뿐이다. 앙숙 서태석은 살려 보내줬더니 자신의 카지노에서 중국조직과 시비가 붙어 카지노를 난장판으로 만들고, 자신의 상징인 카지노가 얼마나 손쉽게 박살 나는지 허탈하게 보여준다. 결국, 전요환은 국정원과 미국 마약단속국이 심혈을 기울인 작전으로 겨우 검거되어 그 위치에 걸맞은 최후를 맞게 되지만, 차무식은 그런 거 없이 어디 촌구석에서 정말 보잘것없는 최후를 맞게 되면서 비슷한 시기에 방영된 두 드라마의 비교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정팔의 부탁을 들은 차무식은 덕배를 찾아간다. 무식은 덕배를 납치해 창고에 가두고 정팔에게 빌린 돈을 달라고 위협한다. 한편, 대사관에서 무식을 사살해도 좋다는 공문이 내려온다.
헐리우드 영화 중에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이 제작한 카지노라는 동명의 영화가 존재한다. 스토리는 완전 딴판이지만, 카지노 업계에 발을 담근 인물들의 흥망성쇠를 다룬다는 점이 똑같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